초 다음 초 (2017)
HD 비디오, 사운드, 25' 14"
서울시립미술관 커미션

문화로서 민중미술은 집단적, 즉각적으로 생산된 이미지를 통해 현실을 폭로하고 변화를 시위했다. 동지, 친구, 연인, 가족, 이웃은 혁명의 잠재력을 존재로서 증명하며 기꺼이 이미지가 되어 주었다. 그들은 현실의 모사이기 보다 매우 현실적인 픽션이었다. 반면 오늘날 이미지가 된다는 건 코드화, 정보화되어 손쉽게 감시, 식별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재현되는 것 자체가 삶에 위협적일 때 사람들은 변신하고 삭제하고 갱신한다. 지금 우리에겐 어떤 구체적인 얼굴이 떠오르는 대신 인터넷 문화에 극명하게 남아있는 “분노, 폭로, 고양, 확산, 결집”의 감정과 행위를 다급하게 목격할 뿐이다. <초 다음 초>는 80년대 민중미술의 유산을 오늘날 이미지-현실 관점에서 소화해 보려는 시도이다. 동시에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적 발원지인 디지털 환경이 공유할 수 없는 세계의 모순을 드러낼 미래의 동력이 될 수 있을지 질문한다. 그 속에서 디지털 네이티브이자 미래세대인 어린 퍼포머는 과거의 노래를 새로 부르고 유유히 자신의 굿을 치른다. 새로운 문화적 변용은 가장 세속적인 형태로 시작된다. 그 코앞 혹은 바로 뒤에는 다음 얼굴이 있을 것이다.

촬영 로케이션: 드들강(전남 나주), 지하 통신구(서울), 이태원 할로윈데이(서울), 경희대학교 노천극장(서울), 서울대학교 노천극장(서울), 연세대학교 노천극장(서울), 조선대학교 노천극장(광주), 한양대학교 노천극장(서울).

출연: 오윤
자료제공 및 도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자료실, 연세대학교

이미지 출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 최열 기증
1988년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벽화를 촬영한 슬라이드
1989년 5월 창원대학교 제10회 봉림민족대동제를 촬영한 슬라이드
1989년 6월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전국청년미술학생 통일염원대동제 관련 슬라이드
1990년 농촌문화미술활동대가 경북·봉화일대에 제작한 농촌벽화를 촬영한 사진
1988년 경기대학교 민족통일염원도 벽화 슬라이드
1989년 경희대학교 그림패 쪽빛이 제작한 걸개그림을 촬영한 슬라이드
1988년 동아대학교 열린그림마당이 그린 〈6월항쟁도〉 벽화를 촬영한 슬라이드
1989년 민족해방운동사 9. 민중생존권투쟁 : 6월 항쟁을 촬영한 필름
1989년 《민족해방운동사-그림전》 필름 민족해방운동사 10. 7·8월 노동자대투쟁
1989년 3월 24일 마산·창원 임투전진대회에 사용된 걸개그림을 촬영한 슬라이드
1989년 6월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전국청년미술학생 통일염원대동제 관련 필름
1983년 『산그림』 브로슈어 뒷표지 이미지, 두렁
1988년 우리그림이 제작한 그린힐 여공신장도 걸개그림 슬라이드
호남대학교에 걸린 걸개그림을 촬영한 슬라이드, 연도미상
1988년 3월 13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서울지역 노동조합 전진대회 및 문화대동제를 촬영한 슬라이드
1988년 가는패, 갯꽃이 제작한 한독금속노조 벽화를 촬영한 슬라이드
1989년 6월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전국청년미술학생 통일염원대동제 관련 필름

퍼포먼스 레퍼런스: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 최열 기증
1980년 7월 남평 디딜강에서 씻김굿을 하는 홍성담의 사진 (사진: 최열)
민정기 <숲에서 I>, 석판, 60x90cm, 1986., 『85’ 문제작가 작품전-문제작가 81’-84’전』, p29, 서울미술관, 1986.

-

People, the Next People (2017)
HD Video with sound, 25’ 14”
Commissioned by Seoul Museum of Art

As a cultural form, Minjoong Art used images that were produced collectively and instantaneously to expose the contours of reality and enact demonstrations of change. Comrades, friends, lovers, family, and neighbors threw themselves all too willingly into manifesting that particular type of image, their collective existence itself a testament of revolutionary potential. They were more a keenly practical fiction than replica of actuality. On the other hand, to become image at our juncture of history is to be subject to coding and informatization and thereby transform into the paltry object of surveillance and identification. When representation itself threatens life, humankind metamorphoses and eliminates and regenerates. In this moment, we find ourselves unable to envision precise faces. We are mere exigent spectators to the emotions and actions of "fury, exposure, elevation, proliferation, and congregation" which our Internet-based culture has thrown into such stark relief. People, the Next People consequently attempts to come to terms with the legacy of 1980s Minjoong Art from current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reality. At the same time, the work interrogates the possibility of digital environments--our most influential cultural wellspring--fueling the eventual revelation of the paradoxes behind a world that cannot be shared. Within such a venture, the young performer, both digital native and constituent of the future generation, sings the song of old anew and placidly carries out shamanistic rituals of his own. Any new shift in culture has its roots in the most secular forms, at the fore or on the heels of which will emerge our ensuing faces.

Location of filming:
Deudeul River (Naju, Jeollanam-do)
Underground cable tunnel (Seoul)
Halloween day in Itaewon(Seoul)
Amphitheater, Kyung Hee University (Seoul)
Amphithea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Amphitheater, Yonsei University (Seoul)
Amphitheater, Hanyang University (Seoul).

Performed by Oh Yoon
Courtesy and Support of the Archive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wacheon, Yonsei University

Reference Images from
Choi Yeol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lide of Mural at Dankook University Cheonan Campus, 1988
Slide of The 10th Bongrim Daedongje, Changwon University, May 1989
Slide of The National Youth Art Students' Lo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Daedongje, June 1989
Photography of Agricultural Art Activists' Rural Murals in North Gyongsang Province and Bonghwa County, 1990
Slide of The Lo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Gyeonggi University, 1988
Slide of Geurim Group Jjokbit's Hanging Mural Pictures, Gyeonggi University, 1989
Slide of Yeolin Geurim Madang's Mural on June Struggle for Democracy at Donga University, 1988
Film of June Struggle for Democracy, The Struggle for the People's Right to Liv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9, 1989
Film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istory - Painting Exhibition, July and August Worker's Great Struggl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10, 1989
Slide of Hanging Mural Picture used for Progressing Rally in Masan and Changwon, March 24th 1989
Film about The National Youth Art Students' Lo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held at Hanyang University, June 1989
Image of Doorung's San Geurim [Mountain Painting] on back cover of brochure, 1983
Slide of Hanging Mural Painting on Female Workers of Green Hill Factory, Woori Geurim, 1988
Slide of Hanging Mural Painting held at Honam University, date unknown
Slide of Labor Union Seoul's Progressing Rally and Munhwa Daedongje held at Yonsei University, March 13th 1988
Slide of Handok Metal Company Workers Union Mural by Ganeun Pae and Gaekkot, 1988
Film about The National Youth Art Students' Long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held at Hanyang University, June 1989

Performance Reference from
Choi Yeol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